
MSSQL 엔진을 설치 한 후 엔진 관리 툴인 MSSQL Management Studio를 실행해서 위와 같이 관리자 계정으로 서비스에 접속을 하면

요렇게 서비스 중인 엔진을 관리 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이 상태에서는 엔진을 관리하고 서비스 관련 정보를 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이 기본적으로 있지만 각종 고유 작업을 위해선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작업을 시작하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 하고 새 데이터베이스를 선택 후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정하시고
(논리적 이름은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자동으로 동일하게 작성됩니다.)
자동증가 옵션과 최대 크기 제한을 확인하신 뒤 확인을 누르면

엔진이 관리할 새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됩니다. ^^
이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은

새 데이터베이스 아래 테이블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 - 테이블을 선택하면

새로 생성될 테이블의 스키마를 정할 수 있는 창이 등장하는데요.
상단에는 그리드 형태로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선택중인 열의 속성값을 보고 수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우선 열 이름을 작성하고

해당 열의 데이터 형식도 지정하고

널 값 허용 여부까지 확인하면 한 열에 기본적인 정보는 모두 작성되었습니다.
그리고 키를 설정하는 방법은

키로 설정할 열에 마우스를 올리고 우클릭 후

기본 키 설정을 클릭하시면

요렇게 해당 열 앞에 열쇠 표시와 함께 키 설정이 완료 됩니다.

물론 널 값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열을 키로 만들 경우엔 위와 같은 팝업과 함께 자동으로 널 값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이 변경됩니다. ^^

그렇게 필요한 열 작성이 끝이나면

컨트롤키 + S를 누르시거나 위 그림과 같이 저장 버튼을 클릭하시면

새로 생성된 테이블의 이름을 입력하는 팝업이 등장하고

이름 작성 후 확인을 누르시면

테이블 생성이 완료됩니다.
생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은 쿼리를 작성하는 것과 관리 툴의 설정을 통한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우선

새로 생성된 테이블을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상위 200개 행 편집 항목을 선택하시면

해당 테이블의 상위 300개의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화면이 등장합니다.
여기서 원하는 라인에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시고 저장을 하면 자동으로 테이블에 데이터가 작성됩니다.

물론 들어갈 데이터는 해당 필드의 데이터 형식을 맞춘 데이터야 저장이 가능합니다. ^^
이 방법은 직관적이고 빨라서 편리하지만 데이터 입력 방식의 한계가 있어서 입력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데이터의 경우 (비트나 이미지 형식 등)엔 데이터 입력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그리고 두번째 방법이자 기본인 쿼리 작성은 컨트롤키 + N을 누르시거나 위 그림과 같이 새 쿼리 버튼을 누르시면

친절하게 해당 데이터베이스와 관리 권한이 있는 형태의 쿼리 편집기가 등장하고, 위와 같이 데이터 삽입 쿼리를 작성한 다음
(위 쿼리는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데이터] 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쿼리문을 실행할 단축키 F5나 실행 버튼을 누르시면 쿼리가 적용되어지며

조회 쿼리도 실행해보니

두 가지 방법으로 작성한 데이터 모두 이쁘게 저장되어 있는 모습을 보실수 있습니다. ^^
이상으로 MSSQL 2012 이후 버전에서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생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