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일 공유
한번 설정만 마치면 호스트와 가상머신간 같은 폴드를 사용하는듯한 편리한 좋은 방법입니다.

우선 공유할 가상머신의 세팅으로 들어가

옵션 탭으로 이동한 뒤

Shared Folders 항목을

Always enabled로 바꾸고, 네트워크 드라이버로 연결해야 하니 Map as a network drive in Windows guests 항목도 체크합니다.

그리곤 공유 폴더 지정을 위해 추가 버튼을 클릭한 뒤

다음

공유할 호스트의 폴더를 지정합니다.

구별할 이름도 달아준 다음

넘어가면

공유 권한을 묻는군요.
기본 공유 권한을 위해 Enable this share 항목을 체크하고
가상머신에서 공유 폴더의 내용을 수정하는걸 원치 않을 경우엔 Read-only도 체크합니다.
저는 자유롭게 사용할 생각이라 체크하지 않았습니다.

이제 가상머신에서 공유 파일 지정은 끝이 났습니다.

확인한 다음

이번엔 호스트(본체)의 공유할 폴더에 가서 마우스 우클릭을 한 뒤 속성에 들어가

공유 항목으로 넘어가서

고급공유의

선택한 폴더 공유를 체크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네트워크 공유 주소가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유 설정을 마치면 다시 가상 머신으로 돌아와 가상 머신을 실행합니다.

가상 머신이 시작되면 바탕화면에 있는 네트워크를 마우스 우클릭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선택하고

폴더를 찾아보면

이렇게 호스트에서 공유한 폴더를 자동으로 찾아옵니다 ^^
(자동으로 찾지 못할 경우엔 좀 더 아래에 설명이 있습니다.)

공유 폴더 주소를 확인하고 마치면

이제부터 내 컴퓨터에서 이렇게 네트워크 드라이버로 공유 폴더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

호스트에서 공유 폴더에 프로세싱 메모라는 텍스트 파일을 복사해 넣어 봤더니

가상 머신에서도 이렇게 프로세싱 메모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공유 권한에서 Read-only 항목을 체크하지 않았으니 이렇게 새로운 텍스트 파일을 만들어서


공유 폴더에 저장을 하면


호스트에서도 바로 확인이 가능하죠. ^^

그리고 만약에 공유 폴더 주소를 자동으로 찾질 못한다면

공유 폴더의 네트워크 주소를

여기에 직접 입력하시면
(\모양은 엔터키 바로 위에 있는 역슬러쉬 키입니다. 주소의 구분자로 사용되는거니 꼭 넣어주셔야 합니다.)

간단히 찾아옵니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윈도우XP를 설치한 가상머신에서도

똑같이 네트워크 드라이브가 연결됩니다.

가상머신1에서 만들었던 텍스트 파일도 확인할 수 있고

가상머신2에서 만든 텍스트 파일을

호스트에서도 확인 완료!
이로써 호스트 - 가상 머신간 폴더, 파일 공유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편이 USB를 이용한 공유방법인데 사실 대부분 폴더 공유를 사용하는 편이라 큰 의미는 없는 포스트일꺼 같습니다 ^^
그럼 다음 포스트에서 뵙겠습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문의는 언제든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함께보기
===============
가상머신 시리즈
1편 VMware Workstation14 설치하기 : 이동
2편 가상 머신 추가하기 : 이동
3편 this host supports intel vt-x 오류 해결하기 : 이동
vmware 깔적마다 이 게시글을 참조하며 잘 연결해 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감사히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
답글삭제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답글삭제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