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Stack)이란
한 끝에서 삭제와 삽입이 이루어지는 순서 리스트를 뜻하며 삭제와 삽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TOP이라고 한다.
수식으로는 S = (a0, a1, ... an)으로 표현하며 오른쪽에 있을수록 윗쪽에 있는 원소로 표현되며 TOP이된다.
제일 나중에 들어온 원소가 제일 먼저 삭제되기 때문에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구조하고도...
배열(Array)이란
같은 자료형에 같은 크기를 가진 원소들을 순서를 정해 나열시킨 집합을 배열이라고 함.
원소들간 순서는 인덱스라고 부르고 참조의 기준도 된다.
배열을 만들어 관리할 경우 선언과 변수명을 반복해 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관리와 사용성이 올라간다.
원소를 나열하는 순서의 갯수에 따라 ~차원 배열로 표현함 (2차원 배열 같은거)
언어에...
자료 추상화
은닉성의 기본 개념인 추상화는 전체 내용 중 필요한 부분만 외부로 노출 시키고 나머지는 감추는걸 의미한다.
자료형에 추상화를 시키면 추상 자료형(ADT: Abstract Data Type)이라고 하며 추상 자료형은 객체와 연산만 정의하는걸 의미한다.
추상 자료형은 언어마다 형식과 지원되는 연산의 갯수가 차이남.
추상 자료형 예시)...
독학학위제 컴퓨터과학부 4단계 전공 과목 중 자료구조 과목을 학습하며 정리한 내용을 작성한 포스트입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제공한 시험 영역을 기준으로 학습했습니다.
자료(Data)와 정보(Imformation).
자료는 현실에서 관찰이나 측정으로 수집한 결과 값이나 수치들을 의미하며 표현하는 방법은 논리값 (True, False)과 수치,...